
[양주=문양휘대기자] 경기도 양주시가 추진중인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장례·화장·봉안시설등 통합형 장사시설)이 지역사회의 블랙홀이 되고 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양주시지역위원회가 지난 22일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에 대해 행안부 투자심사 재검토결정에 대해 환영한다고 성명서를 발표한 이후로, 지역의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
양주시 종합장사시설은 양주시를 비롯, 의정부시. 동두천시, 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큰틀에서 보면 경기도 북부권의 장사시설 부족에 따라 장례기간이 연장되고 인접 지자체로 가야하는 경기북부 지역주민들의 불편함을 해소키 위해 6개시가 공동으로 협약했으며, 양주시가 선도하고 있다.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백석읍 방성리 일원 부지에 총사업비 약 2,092억원을 투입하여 화장로, 봉안당, 자연장지, 산림욕장, 반려동물 놀이터등으로 ‘명품 추모공원’ 형태로 조성된다.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기존 장사시설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혐오시설) 완화하고 6개지자체가 함께 참여하여 비용분담을 인구비례로 정함으로써, 규모의 경제와 책임배분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음은 주지의사실.
우리가 잘알고 있듯이 장사시설 유치에 따른 주민들의 반발과 갈등을 초래한 사업으로, 전국적인 사례를 보더라도 녹록치 않았다.
이에따라 지방자치단체는 ‘혐오시설’이라는 인식을 바꾸기 위해 직원전수교육, 주민설명회를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있으며, 경기도에서도 장사시설 갈등관리 매뉴얼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공동형종합장사시설은 사회적 필요와 충족에 따른 것으로, 장례·화장시설부족은 인구고령화·화장률 증가추세에서 더이상 미룰 수 없는 과업으로, 양주시가 적극추진하고 있는것은 경기북부권 지역주민들에게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불편완화라는 측면을 고려된 것이라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입지 선정과정에서 주민동의가 확보되지 않거나 갈등이 발생하면 사업이 지연되거나 중단될 수 있으며, 실제로 양주시의 대안부지 공모에서 응모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바 있다.
또한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장사시설이기 때문에 ‘왜 이 지역이어야 하는가’, ‘해당지역이 왜 유치수용 가능한가’에 대한 논리적 설득이 부족하면 반발로 이어질 수 있다.
양주시 공동형장사시설과 관련, 더불어민주당 최수연의원은 지난 17일 개최된 제381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강수현시장을 상대로 “양주시 광역화장장 반대시민집회에 참석”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강시장은 “거길 내가 왜가느냐? 안간다”고 답하는등 양측간 팽팽한 기싸움과 함께 불편한 심기를 여지없이 드러낸 바 있다.
이날 최의원의 질문은 합리적인 정책적대안과 문제해결을 위한 질문이라기 보다는 정치적, 진영논리에 함몰된다는게 지역의 여론으로, 향후 공동형 종합장사시설과 관련, 집행부와 시의회간 상생이 실종된 정쟁터로 변질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의 덕목은 ▲정의, ▲책임, ▲도덕성과 청렴, ▲소통과포용, ▲지혜와통합, ▲용기, ▲공동의 善이지만, 최종목표는 시민들의 행복과 번영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역정치는 정치의 덕목은 온데간데 없고 합리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기보다는 내년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주민들에게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한 고도의 정치적행위 이상,이하도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을 갖게하기에 충분했다.
양주시 정치인들에게 바란다.
진영논리와 정쟁으로 반대를 위한 반대로 지역주민들을 혼란스럽게 하지 말고 지금부터라도 주민들이 참여하는 워크숍등을 개최하여 지역의 우려사항을 수렴하고 설계에 반영하고, 입지 후보지에 대한 객관적 비교분석 (교통, 환경, 주거거리등)에 나서길 바란다.
더불어 건립후 지역발전 기여방안(지역 일자리, 교육기금 등)을 명시하고 운영이후 관리계획과 재정계획을 사전에 설계하여 공개하고 民,民갈등을 해소하고 지역정치의 극한대립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시킨다면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전국적으로 성공적인 모델이 되지 않을까?



















